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졸업식 노래 #빛나는 졸업장 #진추하
- 1mm 치과
- 빌보드 #노라 존스 #재즈
- 석민이#경민이#도화동시절
- 경로석#한국근대문학관#윤아트갤러리
- 70-80bpm
- fork. male vocal. 75 bpm.piano. cello. lyrical. lively.
- 오블완
- lost in love "잃어버린 사랑" - 에어서플라이 (air supply)#신포동#ai가사
- 시각장애인 #안드레아 보첼리
- 양파즙#도리지배즙#배도라지청#의약용파스#완정역#호경형
- 동인천역 가새표#남수#보코#친구들
- 추억의도시
- 碑巖寺
- 누가바#상윤네집#진열이#금복
- 인천 중구를 사랑하는 사람들
- 감정의 깊이가 다른 말
- 황우창
- y.c.s.정모
- Saxophone
- male vocal
- 익숙해질 때
- 인천대공원#포레#파반느#단풍
- 나는 걸었고 음악이 남았네
- 인천시민과함께하는시화전
- 사르코지 #카콜라 부르니 #불륜 #남성편력
- uptempo
- 티스토리챌린지
- piano
- 인학사무실#참우럭#놀래미#도미#금문고량주#두열#제물포#마장동고깃집#마장동
- Today
- Total
형과니의 삶
당구의 역사에 대하여 본문
당구의 역사에 대하여
당구의 기원은 분명치 않지만 스페인 기원설, 영국 기원설 프랑스 기원설이 있다. 그러나 정설로서는 14~15세기에 걸쳐서 크리켓과 비슷한 옥외 스포츠였던 것을 실내 게임으로 개량, 유럽 각지에서 발달해 간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Complete Gamester) (1674년) 중에서는 십자군에 의해 동방에서 유럽으로 반입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 고안되었다고 하는 스페인 기원설을 취하고 있고 14세기경 국기크리켓을 실내에서 실시하게 된것이 그 시초라고 하는것이 영국 기원설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1571년 프랑스 종교 전쟁 무렵 찰스 9세의 왕실 예술가였던 드비니가 고안, 간단한 규칙을 만들었다고 하는 프랑스 기원설이 유력하다. 또한 셰익스피어의 저서 「안토니오와 클레오파트라」중에 당구(billiard)라는 것이 씌어 있는데 그것이 어떤종류의 것이었는지는 분명치않다.
어쨌든 당구의 원형은 지상에 2개의 둥근공을 King(킹)이라고 하는 원추형의 것을 놓고 Maces(메스)라고 하는 구부러진 막대기의 한쪽 끝을 어깨에 얹고 다른 한쪽 끝을 쥐고 돌을 쳐서 굴리는 옥외 경기였다고 한다.
그 후 유럽에서는 같은 형식의 실내 경기로 발전해서 일정한 형태를 가진 틀이있는 테이블 위에서 공과 공을 부딪쳐서 득점을 겨루는 게임으로 발달 해 왔다.
영국에서는 상아 공을 2개 사용하여 당구대에 Ironarch(아이언 아치)라고 하는 아치 모양의 관문을 세워서 이 아치를 빠져 나 가게 해서 양끝에 뚫린 구멍에 공을 넣는 게임으로 변화해갔다.
18세기가 되자 테이블 위에 구멍을 뚫고 그 속으로 공을 떨어뜨려서 득점을 겨루는 형태로 개량되어 갔지만 이것은 아이언아치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최초는 테이블 중앙에 구멍을 뚫거나 4구석에 구멍을 뚫었지만 테이블의 모양이 장방형으로 정해지고 나서는 테이블 4구석과 긴 쿠션의 중앙에 각 2개 총 6개의 구멍이 뚫리고 이 구멍에 공을 떨어뜨게 되었다. 이것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포켓 게임의 원형이다
[서 론]
Billiards란 Pocket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직사각형의 당구대 위에서 큐라고 부르는 긴 막대기와 여러 수효의 공을 가지고 노는 기술적인 옥내 경기이다. 현대 경기에 있어서는 팽팽한 천으로 표면을 입히고 고무 쿠션을 한 테를 둘레로 하고 있다.
당구 경기의 종류는 여섯 개의 Pocket이 있는 대에서 15개의 색깔이 있는 공과 1개의 백색 cueball을 가지고 노는 Pocket Billiards 흔히 pool이라 부르는 것이 있고, 6개의 작은 pocket이 있는 대에서 21개의 공과 1개의 cueball을 가지고 노는 snooker(스누커)라는 종류와 pocket이 없는 대에서 3개의 공을 가지고 노는 carom(캐롬) 혹은 cannon(캐논) 또는 프랑스식 당구라는 종류와 6개의 pocket이 있는 대에서 3개의 공을 가지고 노는 영국식 당구가 있다. 그 위에 또 프랑스식 당구와 pool이라는 경기에는 여러 가지 다양성이 각각 있다.
다음 몇 개 항으로 나눠서 당구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1. 당구의 기원
당구의 기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상상적 견해가 있다. 어떤 견해는 아주 고대로 잡고 있다. 스키치아의 철학자 Anacharsis 라는 사람이 그리스에 여행했을 때 당구와 비슷한 경기를 목격했다는 말을 토대로 기원을 추측하고 있다. 또 다른 의심스런 유사한 추측들이 그리스나 로마 사람들의 경기에서 찾고 있으나 1885년에 재커스본홍이라는 사람은 다음과같이 풍자한 일이 있다.
『만약, 당구가 로마의 오락이었다면 유명한 Horace 같은 시인이 당구 송시라도 썼을 것이고 네로 황제 같은 사람이 이런 재미있는 경기를 가졌었다면 로마에 불을 지르지 않았을 것이 아니냐』
영국, 중국, 프랑스, 이태리와 스페인 등 여러 나라들이 그 경기를 창시했다고 믿어 왔지만 사실에 있어서 당구의 기원에 대해서 아무것도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추측할 수 있는 것은 당구는 공을 밀어대는 경기에서 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당구는 Henry8세 시대에 유행했던 shuffleboard(원판치기)나 잔디 위에서 하는 공놀이인 Croquet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 어원적으로도 당구의 기원을 따지기가 분명하지 않다. 1895년 라는 책을 쓴 Maurice Vignaux라는 사람은 다음과 같이 썼다.
『공을 뜻하는 Bill이라는 말이 이 문제를 풀 열쇠라고 할 수 있는데 Billiard는 이 말에서 나왔다. 그러면 Bill이라는 말은 어디서 왔나? 어떤 사람은 라틴어 Pila에서 왔다는데 Pila는 어디서 왔느냐? 그 다음은 분명하지 않다.』
비로소 16세기와 17세기에 와서야 이 경기에 대하여 언급한 말이나 문헌이 확실한 증거로서 나타난다.
1591년에 Edmond Spenser가, 또 George Chaman은 1598년에, Shakespeare는 1623년 그의 책 <안토니오와 크레오 파트라>에서, 또 1637년에는 Ben Jonson이, 후에 Samuel Johnson도 1755년 그의 사전에서 이 당구라는 말을 기술하였다.
Jone Evelgn(1620-1706)은 그가 방문한 시골 장원의 당구대를 기록했고, Scot 여공인 Mary는 그가 감금당했을 때 당구대를 철거당한 것을 1576년에 불평한 일이 있었고, Francis Quarles’의 <우의화(寓意 )>속에서 두 천사가 공과 hoop(작은 문, 테)와 초기의 cue(큐)인 mace를 가지고 일종의 당구치는 것을 묘사한 것이 있다. 옛날 문헌에는 공이 돌아가거나 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장애믈을 대에다 설치하였다고 한다. 그런 장애물의 하나는 요새(fort)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다분히 군사적 풍미를 풍기며 이런 종류의 하나에 ‘요새화 경기’라는 이름조차 붙였다.
프랑스의 문헌에는 1694년에 Burgundy 공작부인이 초기의 일종의 cue인 mace를 가지고 당구치는 것을 묘사했고 영어에 있어서의 당구의 첫 번째 상세한 묘사는 1674년에 Charles Colton의 라는 책 속에서 이뤄졌다.
처음은 두 개의 공이 사용되어서 이것이 영국에 들어갔다. 구명은 대에 처음에는 가운데에, 그 다음에는 구석과 옆에 팠고 그 속에다 공을 몰아 넣게되었다. 1775년경에 세 번째 공인 carom을 블란서인이 소개했고 곧 영국으로 건너갔다.경기는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었는데 무두가 하나의 cueball을 가지고 두 개의 공을 때리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당구는 17세기 후반 루이14세 때에 유행하였는데, 그의 시의가 건강을 위하여 매일 만찬후 당구를 치라고 충고하였다. 왕은 여러 귀족들과 쳤고 귀족들은 왕보다 훨씬 잘 쳤지만 왕을 위하여 져 주었다.
당구가 추기의 유치함을 벗어나서 현대적 형식에 도달한 것은 1800년경이었다. 1807년 E·White라는 사람이 당구에 대하여 쓴 영어책에는 오늘과 같은 형식이 기술되어 있다.
2. 도구의 발전
1) cue : cue는 1700년대 후반에 mace를 대체했고 1760년경에는 아주 납작하고 평평한 것이었다. 25년 후에 cue는 작은 끝을 시각으로 깎고 또 한쪽을 원형으로 깎아서 썼다. 18세기 후반에는 cue의 끝을 모두 사각으로 깎았다. 1806년 chalk를 사용함에 따라서 Mingaud라는 사람에 의하여 가죽 cuetip이 만들어졌다. 그 다음에 현대에서 쓰고 있는 여러 가지 밀도의 나무로 만든 개머리를 단풍나무 창대에 맞춘 cue가 사용되었다. 또 이 단풍나무 shaft는 화이버, 사슴뿔, 상아, 플라스틱 강도를 더했고 견고하고 미끈하게 만들었다. 알루미늄 합금 cue는 20세기에 만들어졌다.
2) chalk : 처음에는 흰 도료 칠한 판자에다 cuetip을 마찰했다. 그 후에 chalk가 사용되었다. chalk를 도입하기 전에는 공을 그 중심에서나 가까이에서만 때를 수 있었다.
3) ball : 19세기 후반까지는 상아로 만들었다.
1890년 John Hyatt가 nitrocellulose와 camphor와 소량의 알콜로써 보통 기후에서는 더욱 견고한 공을 만들었고 이것이 인조상아공의 시작일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공업의 시작이 되었다. 1920년에 석탄산액에서 더욱 견고하고 빛이 찬란한 새로운 플라스틱공이 발전되었다.
상아공은 훌륭한 선수에게는 아주 민감하다고 평가되고 있으나 인조상아공이 더욱 기후의 변함에 영향을 덜 받고 상아공보다 더욱 완전하다.
4 cloth(천) : 초기에서 이미 천은 광택 있는 포플이 있는 섬세하게 짠 녹색천으로 만들어졌고 그 외양 때문에 비로드로 취급되기도 하였다.
5) rubber cushions : Jone Thurston이 1799년 당구 장비 공장을 만들었고 1835년에 천 혹은 비로드로 된 구식 cushion 대신 고무 cushion을 만들었다. 이것은 큰 개선이었으나 날씨가 추우면 탄력성에 영향을 줌이 흠이었다. 그러나 1845년 새로운 처리방법이 개발되었고 1845년에 Thurston이 이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6) slate beds : 고무 cushion을 만든 후에 Thurston은 Edwin Keutfield와 같이 종전의 목재 당구대 bed(판) 대신에 슬레이트(slate) 판을 만들어 소개했다. 이것으로 공이 정확하게 달리는데 좋은 영향을 주었다. Thurston는 cue와 ball과 조명 또 다른 장비 개선에 많은 공헌을 했다.
3. 당구 용어
당구에서 사용하는 특별한 의미를 가진 말들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1) Bank shoot
2) Carom(미국) Cannon(영국)
3) Centre spot
4) Cushion
5) Dead Ball
6) English(미국) Side(미국)
7) Frozen(미국) Truching(영국)
8) Full-Ball
9) Half-Ball stroke
10) Inning(미국)-Break(영국)
11) Long Loser
12) Long on-off(미국) Long in-off(영국)
13) masse
14) miscue
15) miss
16) Rack(미국) Triangle(영국)
17) Run-strough
18) Safety
19) Scratch(미국)-coup
20) screw
21) stun and stah
4. 당구의 여러 가지 경기
당구 경기는 당구대, 큐, 공. 세 가지 기본장비로 하지만 여러 가지 종류로 발달했다.
A. 당구대 높이 : 2ft 9½in 내지 2ft 10½ 넓이 6.1½in 길이 12.0in
B. Carom 혹은 French Billiarde : Carom당구는 길이가 넓이의 두배인 pocket이 없는 대에서한다. 공과 cue는 English Billiards와 같다.
1) Three cushion Billiards
2) Straight-Rail-Billiards
3) Straight-Rail-Billiards
4) 18·2 Balk-Line game의 4가지 종류가 있다.
C. Pocket games : Pocket game은 넓이의 두배의 길이를 가진 대에서 한다. 그리고 6개의 pocket을 가지고 있다. 각 구석에 하나와 두 측면 중간에 하나씩 있다.
1) Snooker
2) Pocket Billiards 혹 Pool
3) Contineous Pocket Billiards
4) Bumper 네 가지 종류가 있다.
5. 당구 역사상의 저명한 Champion들과 선수들
A. 영국과 구라파
영국과 구라파에서 하는 중요한 경기 종목은 영국식 당구와 불란서식 당구이다.
1) English Billiards
① 최초의 뛰어난 선수-Jonathan Kentfield(최고점 196)
② John Robert-1849년에 부전승으로 champion이 됨.
③ W. Cook-1860년대 최초의 공식 champion이 됨.
④ John Robert 2세-1900년대 말기까지 champion. 1900년대에 와서 비로소 많은 우수한 다음과 같은 선수들이 출현함.
C. Dawson, H. W. Stevenson, M. In man, T. Reece, C. Falkner, Willie Smith, C. Harverson, E. Diggle
⑤ Willie Smith-1928년 2,743점을 쳤다.
⑥ George Gray-1910∼11 시즌에 영국에서 이름난 Red-Ball play 선수다.
⑦ 1925∼35년은 프로들의 전성기다. 대표적 선수 Walter Lindrum. 기록은 4,137점이다.
⑧ Jen Lavis, Tom Mewman, Alark Maconachy 이 시대의 유명한 선수들.
아마추어 당구는 1900년 후 현저히 향상되어 호주인 Robert Marshall은 1953년 702의 기록을 세웠다.
2) 협회
The Billiards Association은 1885년에 처음 창시되었고 1908년에는 아마추어 중에서 저명한 인사들에 의하여 The Billiards Control Club이 만들어졌다. 1919년 두 협회는 통합하여 새로운 The Billiards Association and Control Council이 발족함. 이 협회에서는 1920년 라는 잡지를 발행함.
3) Snooker
1930년대 당구에서 프로 선수인 Joe Davis는 snooker에 특별히 관심을 갖고 이 경기의 발전에 힘을 기울여 이 snooker 경기를 인기 경기로 끌어올렸다. 그가 1965년 은퇴하였을 때 snooker에서 687 break란 세기적 기록을 세웠다. 또 다른 snooker player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있다. Horace Lindrum, S. Smith K. Kennerly, R. Williams 등
B. 남북 America
남북미에서는 주로 Carom Billiards와 Pocket Billiards, 즉 Pool의 두 가지 경기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 경기는 당구대로써 쉽게 구별할 수 있다.
Pool Table은 pocket이 있지만 Carom Table은 없다.
① Tom Foley-당구의 권위자로서 1859년에 경기를 미국에서 시작하였다.
② 제1회 전국대회는 1859년 4월 12일 Detroit의 John Secreiter와 New York 출신인
Michael Phelan 두 선수가 Detroit시에서 가졌다. Phelan이 이 시합에서 이겨서 챔피언이 되었다.
William Sexton-1876년∼1878년 사이의 챔피언
③ Jacob Schaefer-1879년∼1882년 사이에 다소 규칙이 바뀌었으며 계속
1886∼1890년까지 champion 자리 유지
④ Willie Hoppe-1906∼1952년까지 champion.
⑤ Charles C. Peperson 유명한 각 선수 대학에 보급시킨 Pocket Billiards계에서는 Alfredo Deoro와 Thome Heusston이 1900년대 초기에 이름을 떨쳤고 1920년대에는 Ralph Greenleaf가 유명하다.
다음 20년은 Erwin Rudolph와 Andrew Ponji와 James Caras가 지배하였다. Willie Mosconi는 1950년대의 챔피언이고 1960년대에는 Luther Lassiter와 Arthur Cranefield가 유명하다.
출처 : 월간당구 1987년 8월호
'당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성님의 내가 본 당구사 2/4] (1) | 2023.04.27 |
---|---|
[조동성님의 내가 본 당구사 1/4] (0) | 2023.04.27 |
당구야사 (1) | 2023.04.27 |
당구 이야기 (3) | 2023.04.26 |
외국에 4구 당구가 없는 이유 (0) | 202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