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형과니의 삶

나이 들수록 왜 시간이 빨리 갈까 본문

일상이야기

나이 들수록 왜 시간이 빨리 갈까

김현관- 그루터기 2023. 2. 12. 09:06

친구 중 한 명은 나이가 슬슬 더 들면서 시간이 더 빠르게 흘려가는 느낌을 다음과 같이 비유했다.
"두루말이 화장지를 빼 쓰는 속도는 똑 같은데, 그 안에 말려있는 종이는 날이 갈수록 굴려가는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 
~~~~~~
어제 신문에 난 컬럼을 보면서, 혹 그런 느낌이 좀 든다면 나이가 들어도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가져 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Jong Eon Peter Kim
~~~~~~

나는 120초를 마음으로 세어 봤더니 125초가 걸리더라마는..  그루터기

2022-04-06 13:06:03

 

나이 들수록 왜 시간이 빨리 갈까 /  윤대현의 마음속 세상 풍경 

“벌써 4월, 올해의 4분의 1이 지났군….” 50대 직장인이 혼잣말을 하는데 옆에서 젊은 직원은 “아직 4월”이라고 말해 기분이 좀 슬펐다고 한다. 정말 나이가 들면 인생 속도가 빠르게 흘러갈까? 당연히 물리적 시간의 흐름은 동일하지만 주관적 지각은 차이가 난다. 

예를 들면, 눈을 감고 120초를 마음으로 세어 보라 하고 실제 시계와 마음 시계(Mind Clock)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15~29세 연령군에서는 115초 정도로 마음 시계가 꽤 정확했던 반면, 50~89세 연령군에서는 87초로 마음 시계가 느렸다. 마음 시계보다 실제 시간이 빠르니, 인생 속도가 주관적으로 더 빠르게 느껴지는 것이다.

왜 그럴까. 우선 나이가 들수록 새로운 경험은 줄고 익숙함이 늘어나기 때문이란 설명이 있다. 첫사랑, 첫 운전 등 첫 경험이 기억에 강하게 남는다. 15세에서 30세 사이에 주로 새로운 경험을 한다. 그래서 기억이란 에너지에 의존해 작동되는 마음 시계가 나이가 들수록 느려진다는 것이다.

뇌과학 측면으로 이해하면 기억은 사건의 강렬함과 기억 능력의 영향을 받는데, 새로운 경험 자체도 줄지만 경험에 대한 강렬한 반응도 나이가 들면 줄어들고 기억 능력도 감소되다 보니 마음 시계가 느려진다는 설명이다. 최근엔 ‘시각 이미지' 를 처리하는 신경망의 프로세스가 나이가 들면 기능이 떨어져 마음 시계가 느리게 가는 것이란 주장도 있다. 영화 '매트릭스' 에서 유명한 장면이 주인공이 총알을 피하는 슬로모션이다. 순간적으로 수많은 이미지를 처리하는 디지털 기술 덕분에 구현된 장면이다.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는 것도 시각 이미지를 처리하는 회로가 뇌 안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어 신경망에 퇴행이 찾아오면 신호 처리 흐름에 저항이 증가해 이미지 처리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르면 첫사랑의 기억이 강력한 것은 실제 더 강렬한 사랑을 했다기보다는, 처리된 이미지 컷의 양이 많아 생생한 느낌이 남아있는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나이가 들수록 슬로모션 같은 생생한 기억이 줄고, 그러다 보니 한 것 없이 훅 시간이 지난 느낌을 받는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관점을 바꾸어 보면, 같은 나이를 살더라도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며 다양한 이미지를 뇌에 담는다면 생생한 기억을 더 남길 수 있다. 일종의 질적 장수 전략이 가능한 것이다. 

장시간 움츠러든 우리 마음에 봄은 또 왔다. 과거 좋았던 기억을 떠올려 목록으로 정리해보고 다시 경험해보는 것, 그리고 아직 못해 본 버킷리스트에 도전해 보는 것, 행동적 항노화제' 라고 할 수 있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관 가는 길에  (0) 2023.02.12
가족이란  (0) 2023.02.12
나는 슈퍼 면역자!  (0) 2023.02.12
기수형님과 영상통화를 하였습니다  (0) 2023.02.11
북성포구의 소녀  (0) 2023.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