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형과니의 삶

訃告에서 도리를 깨닫다. 본문

내이야기

訃告에서 도리를 깨닫다.

김현관- 그루터기 2023. 1. 14. 16:30

  訃告에서 도리를 깨닫다.

얼마 전!  졸업 후 단 한번의 연락도 없던 동창에게서 전화를 받았다.어머니께서 돌아 가셨다면서  친구들에게 연락을 해 달라는데 난감하기 그지없다. 본시 부고라는것이 호상이 직접하여야 하고 여의치 않을 경우에 상주나 가족이 하는것인데 말이 동창이지 졸업한지 40년이 훌쩍 지난 마당에 쓴 소주자리 한 번 없다가 이제서야 내가 동창입네 하며 서슴없이 격에 없는 부고얘기를 하는 품새가 영 마뜩찮은 까닭이다.

친구가 좋아 연락을 자주하여 동창들이 의례 경조사 연락을 부탁하여 기꺼이 도와 주는 입장이지만 , 졸업 후 한 번 보지 못한 친구도 많을텐데 당사자가 직접 선별해 연락해야 옳지 않을까 싶어서이다..안그래도 달포 전 동창모임에서 필요한 시기에 잠깐 나왔다 사라진 몇몇 친구들의 얘기가 화두에 올랐던터라 은근히 부담을 느낄수 밖에 없었다.

이 친구가 어떤 삶을 살아 왔는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동창들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를 잃은 행동임을 알 수 있겠다. 사실 오가다 인사치레로 내밀었던 명함으로 청첩도 보내고 부고도 하는 황당한 사람들도 있으니,이 친구만을 나무랄 형편도 아니다. 어찌 되었건 학창시절을 함께 지낸 인연으로 맺어진 것을 어찌할까?  당사자로서는 친구들보다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효도를 도리로 판단하였으니 다소의 결례쯤은 친구들이 이해해 줄 것으로 생각하였으리라.

다만 이전에도 자기 필요에 의해 동창회를 이용한 친구가 있어서, 몇몇 친구들이 또 다시 그런일이 생길까 우려 하는데, 그로 인해 친구간에 불신의 골이 형성될까 그 점이 염려 될 따름이다.결국 내키지는 않아도 친구들에게 연락을 취해 주었지만 장례식장에 참석한 친구들은 몇 명 안 되었고,그 점이 서운했는지,바빠서 안 받았는지는 모르겠으나, 부탁 전화 이후로는 내 전화를 전혀 받지 않고 있다. 우려가 기우가 아니기를 바랄뿐이다.

이 친구 덕분에 새삼스레 세상을 살아가는 도리에 대해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도리는 한자어로 길을 다스린다라는 말인데 그 길이 어떤 길인가? 바로 사람이 가는 길을 뜻함이니, 사람이 자기의 길을 가려면 성정과 필요에 의해 스스로 그 길을 닦아야 한다는 것을 알리고 있다.

먼 곳을 가기 위해 평평하고 잘 다져진 길을 원한다면,그에 상응하는 노력과 애씀이 필요할 것이고, 소롯길로 만족을 한다면 적당한 노력으로도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을터이다.그게 살아가는 법이고 인지상정인데 간혹 남이 애쓰며 닦아 놓은 길에 무상안주하여 마치 제 길인양 내 달리는 도리에 먹칠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누구를 칭하기에 앞서 스스로 되돌아 보며 반성할 부분을 찾아가며 살아가야 된다는 생각이 든다.

품앗이와 두레나 계가 저절로 생긴 것은 아니다. 다같이 함께 살아가기 위한 자구적인 필요에 의해 하나씩 생겨난 규범들인 것이다. 농경사회에서 이루어진 규범인만큼 단순하지만 단순함이 외려 커다란 역할을 했고 그 정신만큼은 면면히 흘러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현재의 사회적인 관계는 그 사람의 개성과 역량이 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넓이와 폭을 기준하는 정답은 없겠지만 관계의 역할을 짊어질 최소한의 예와 정성과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산다는 것은 곧 죽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의 행태는 모두 다 틀릴 수 밖에 없을 것이나, 미리부터 죽음을 준비하고 있던 사람과 예기치 않게 맞닥뜨리는 사람은 확연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사회는 점점 각박해져 가고 이제 모임의 단위는 최소한으로 작아졌는데,이에 대비를 하지 않다보면, 필연코 친구와 같은 처지가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내가 알던 이의 수첩에 있던 내 이름이 지워지는 사회생활을 하면 안될 것이고, 친하다고 생각하던 사람의 기억에서 잊혀지는 사회적인 삶에서  지워지는 사람이 되지 말아겠다는 의중이 확실하니 자리잡았다. 이사람 저사람에게 잊혀지거나 지워지는 사람이 되다 보면 언젠가는 이 사회에서 자기자신의 존재가치마저 잊게 될 터이니..그렇다면 이제 지워지는 사람보다는 지우는 사람이 되어야 할까?

2012. 5. 22  

'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 고마운 용신씨!  (0) 2023.01.17
고독한 발레리나  (0) 2023.01.14
춘천 가는 길  (1) 2023.01.14
삐리 칠 형제  (1) 2023.01.14
동인천역 북광장 통영 굴밥집에서  (0) 202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