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천대공원#포레#파반느#단풍
- 시각장애인 #안드레아 보첼리
- y.c.s.정모
- 碑巖寺
- 60bpm
- male vocal
- 석민이#경민이#도화동시절
- 인천시민과함께하는시화전
- 감정의 깊이가 다른 말
- 1mm 치과
- 졸업식 노래 #빛나는 졸업장 #진추하
- 티스토리챌린지
- 사르코지 #카콜라 부르니 #불륜 #남성편력
- 동인천역 가새표#남수#보코#친구들
- new trot. male vocal. 60bpm. piano. cello. orchestra. lyrical. languid.
- fork. male vocal. 75 bpm.piano. cello. lyrical. lively.
- 빌보드 #노라 존스 #재즈
- 양파즙#도리지배즙#배도라지청#의약용파스#완정역#호경형
- 누가바#상윤네집#진열이#금복
- 황우창
- 나는 걸었고 음악이 남았네
- 경로석#한국근대문학관#윤아트갤러리
- lost in love "잃어버린 사랑" - 에어서플라이 (air supply)#신포동#ai가사
- 익숙해질 때
- 추억의도시
- male base vocal
- 오블완
- 인천 중구를 사랑하는 사람들
- 인학사무실#참우럭#놀래미#도미#금문고량주#두열#제물포#마장동고깃집#마장동
- blues&jazz
- Today
- Total
형과니의 삶
그리스 대중 음악 '렘베티카' 본문
그리스 대중 음악 '렘베티카'
by 안재필
신이 선택한 나라' 그리스의 대중 음악은 동양과 서양이 만나는 지리적 특성을 고스란히 품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의 교차로에 위치해 양 대륙의 음악적 특성을 두루 받아들여 새롭게 창조해냈다.
'서양의 멜로디와 음계는 굳이 말할 필요도 없고, 아시아의 음악 특징들이 고스란히 나타난다. 아랍 음악의 대표적인 선법인 '마캄 선법'은 물론이고, (한 음절에 다수의 음표가 붙은) 멜리스마 창법, 터키의 전통 악기인 사즈(Saz)에서 유래된 부주키 등이 그리스 음악의 아시아적인 특징들이다.
이런 동·서양의 문화의 충돌과 어울림이 용광로 안에 녹아들어 탄생한 그리스 최초의 대중음악이 바로 '렘베티카(Rembetika)'이다. 렘베티카의 탄생 배경에는 1923년 그리스와 터키 사이에 체결된 로잔 조약이 있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그리스는 '대(大) 그리스'를 꿈꾸며 터키령의 소아시아를 점령했는데, 로잔 조약의 체결로 그 꿈을 포기해야만 했다. 소아시아를 터키에 내주게 되었고, 그 곳에 살던 200만명의 그리스인과 그리스에 살던 80만명의 터키인들이 강제 교환된 것이다.
갑작스레 살 곳을 잃어버린 난민들은 아테네의 뒷골목이나 항구 도시 피레우스 등지에 정착해서 고단한 삶을 꾸려갔다. 특히 피레우스는 항구 도시 특유의 자유롭고 개방적인 분위기 때문에 많은 소아시아의 그리스인들이 몰려들었다. 이들 난민들은 정상적인 직업을 갖지 못하고, 뱃사람들과 창녀, 부랑자들이 모여있는 유흥가와 뒷골목에서 생계를 유지해야만 했다. 하룻밤의 쾌락과 삶의 고통이 공존하는 피레우스의 거리에서 바로 렘베티카가 태어났다. 그리스의 전통 음악과 터키에서 난민들이 가져온 음악, 뱃사람들이 전해준 주변 나라들의 음악 등이 섞이면서 '그리스의 블루스'는 울음을 세상에 쏟아내기 시작했다.
192,30년대 초기 렘베티카 음악은 부주키 또는 소형 부주키라 불리는 바글라마(Baglama)를 연주하며 외설적인 연애담이나 약물, 섹스 등 자극적인 내용을 테마로 노래를 불렀다. 이런 렘베티카의 초기 양식을 확립한 인물은 마르코스 밤바카리스(Markos Vambakaris). 피레우스의 뒷골목 건달 출신인 마르코스 밤바카리스는 독학으로 부주키 연주를 익힌 후 1930년까지 항구 도시 최고의 스타로 군림했다.
하류 인생들의 사운드트랙이었던 렘베티카는 1940년대 바실리스 찌짜니스(Vassilis Tsitsanis)에 의해 그리스의 '대중 음악'으로 승격되었다. '렘베티카의 아버지'로 불리는 바실리스 찌짜니스는 어두운 옷을 입고 있었던 렘베티카를 밝고 화사하게 꾸며 모든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음악으로 탈바꿈시켰다. 아름다운 사랑이야기가 가사의 주를 이뤘고, 서양의 하모니와 멜로디를 대폭 수용해서 부드럽고 친근하게 만들었다.
1960년대 접어들면서 렘베티카는 미키스 테오도라키스(Mikis Theodorakis)와 마노스 하지다키스(Manos Hadjidakis)라는 두 명의 위대한 아티스트에 의해 '예술'로 승화되었다. 정통 클래식 교육을 받은 이들은 그리스의 시적인 전통 음악과 서양의 클래식 음악을 접목시켜 매우 장엄하고 스케일이 큰 렘베티카 음악을 만들어냈다. 그래서 이들의 음악을 '예술적'이라는 뜻의 '엔테크노(Entekhno)'라고 부르기도 한다. 특히 미키스 테오도라키스는 1967년부터 1974년까지 계속된 군부독재정권 치하에서 노래로 투쟁하며 그리스 국민들에게 끊임없이 용기를 불어넣었다.
군부 독재가 막을 내린 후 렘베티카는 새로운 물결에 동참했다. 전통보다는 '현대'를 택했다. 그리스적인 서정미와 선율들을 간직하면서도 전세계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팝'으로 변화한 것이다. 바로 '라이코(Laiko)'의 등장이었다. 요르고스 달라라스(Georges Dalaras)는 그리스의 팝, 즉 라이코를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인물이다. 그는 기타와 부주키를 동시에 연주하고, 전통 선율을 현대적으로 프로듀싱하며 그리스 음악에 힘찬 기운을 불어넣었다.
그래서 렘베티카를 추억의 음악으로 생각했던 그리스 젊은이들에게도 라이코 음악은 매우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었다. 요르고스 달라라스의 등장 이후에도 현재까지 하리스 알렉시우(Haris Alexoiu), 안나 비씨(Anna Vissi), 사키스 로우바스(Sakis Rouvas) 같은 인기 가수들을 계속 나오며 라이코 음악은 전성기를 계속 누리고 있다.
2007/09 안재필(rocksacrifice@gmail.com)
'음악이야기 > 월드음악-샹송,칸초네,탱고,라틴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Rubén González - Siboney (0) | 2023.02.24 |
---|---|
Hot Spanish Guitar - Al Marconi (0) | 2023.02.24 |
Roxana Fabian - Besame Mucho 우리의 恨과 같은 정서가 흐르는 음악 (0) | 2023.02.24 |
플라멩코의 절창(絶唱) /Rocio Jurado (0) | 2023.02.24 |
Aria Di Festa - Milva (1) | 2023.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