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형과니의 삶

유일무이한 도시 서울 [한국-Korea Elias Burton Holmes의 기행기록영화] 본문

일상이야기

유일무이한 도시 서울 [한국-Korea Elias Burton Holmes의 기행기록영화]

김현관- 그루터기 2023. 5. 17. 00:43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A/03446

 

KMDb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www.kmdb.or.kr

 

한국영상자료원이 지난 1월에 공개한 "1950년 이전 조선,한국 기록영상 컬렉션" 중에서 외국인이 촬영했던 영상 몇 편을 고르고 영상마다 몇 가지의 단서와 안내를 덧붙였다. 모두 무성영화이고 주관적 판단에 따라 적정한 속도로 조정한 버전이다. 편집본도 있고 여러 장면을 단순히 엮은 모음집도 있다. 감상이 버겁다면 조금씩 자주 봐도 된다. 초기 기록영상에서 컨티뉴어티는 큰 의미가 없다. 한 번에 모든 정보를 눈치채고 이해하는 사람도 소수일 것이다. 탐정, 공상가, 호기심쟁이라면 컬렉션 해제, 각 영상의 KMDb 영화정보, 웹 검색, 그 외 가능한 모든 방법을 병행한다면 더욱 즐거울 것이다.

 

유일무이한 도시 서울 [한국-Korea Elias Burton Holmes의 기행기록영화]

The Singular City of Seoul 1900 년대

기록물 미국 5

제작사 Burton Holmes, Inc.

감독 엘리아스 버튼 홈즈

 

줄거리

주요 내용

1901년과 1913년에 한국을 방문하여 여행 기록영상을 촬영한 미국의 여행작가 엘리아스 버튼 홈즈 Elias Burton Holmes의 기록필름. 현존하는 필름은 1917108일 개봉된 유일무이한 도시 서울 (The Singular City of Seoul)의 가편집본(Trim)으로 추정되며, 한국영상자료원이 보유 중인 J. H. 모리스 컬렉션(Archives Korea 1930-1940(B10212))에 포함된 특이한 한국 문화 (Queer Korean Customs)와 함께 1917년에 파라마운트 사를 통해 공개된 버튼 홈즈의 한국 관계 영상 3편 중 하나로 보인다. 영상의 절반 정도는 1901년 촬영분이며, 나머지 절반은 1913년 촬영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양식 모자를 쓴 사람. 남대문과 동대문 주변 풍경. 종로 풍경. 경희궁 부근. 빨래터(중학천), 교회, 구세군, 상투 트는 모습, 길거리 행인, 밥 먹는 모습, 활쏘기 연습, 기생의 춤 등을 수록하고 있다. (출처 : 한국영상자료원 1950년 이전 기록영상 연구용역(2021))

 

장면 분석

# 아래의 시간은 14fps 속도로 재생했을 때의 기준입니다.

 

00:22 모자를 쓴 조선인이 인사하고 웃는 모습

00:32 남대문 방향으로 전차를 타고 가며 촬영한 영상

00:43 동대문 방향으로 전차를 타고 가며 촬영한 영상

00:52 종로 보신각 주변의 모습

00:57 경희궁 흥화문 주변의 모습. 양산과 우산을 쓴 여성들.

01:14 수녀로 보이는 차림의 조선 여성들이 길 모퉁이를 돌아나오는 모습. 구세군 복장의 아이도 보임.

01:20 어느 개천에서 여성들이 빨래를 하고 아이들이 돕는 광경. 수녀들이 섞여 있음.

01:35 어느 건물 앞 공터에서 수녀와 일반 여성, 구세군 복장의 어린이들이 모여 쉬고 있는 광경. 제일 첫 장면에서 등장했던 남성도 함께 있음.

01:48 조선인, 서양인, 구세군 대원 등이 어느 건물 벽돌 건물 앞에 서서 카메라를 바라보는 모습. 외국 여성들은 아코디언을 연주하며 찬송가를 부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

01:58 한 노인이 상투 트는 과정을 보여주는 장면

02:39 망건, 갓을 쓰거나 상투 튼 조선 남성들이 어슬렁거리는 장면. 희미한 뒷 배경의 모습이나 쌀가마니가 쌓여있는 것으로 보아 장터 풍경으로 추정

02:52 사정(射亭)에서 활쏘기하는 어른들, 구경하는 아이들.

03:32 돌담 앞에서 밥을 먹는 두 명의 아이

04:55 기생들 (협률사 추정)의 춤 (입춤, 검무, "춘향무" 추정 무용 등)

06:17 2개에 묶인 밭줄을 6명이 잡고 함께 삽질하는 장면. (출처 : 한국영상자료원 1950년 이전 기록영상 연구용역(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