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형과니의 삶

모더니티란 무엇인가(근대철학) 본문

철학,배움,지혜

모더니티란 무엇인가(근대철학)

김현관- 그루터기 2023. 7. 13. 00:47

모더니티란 무엇인가(근대철학)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모더니티란 무엇인가(근대철학)

인류 역사를 거칠게 나누어보면 미개사회와 전통사회, 17세기 이후로 전개되는 모더니티(근대성)로 나눌 수 있다. 근대성은 17세기 이후 오늘날까지 진행 되어온 문화. 역사. 인간 삶의 특징이다. 17세기를 근거로 구분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세계(자연,우주)에 대한 개념이 혁명적으로 바뀌게 된다.-17세기에 들어와서 자연과학이 발달하게 된다. 철학이 쪼개어진다. 갈릴레오. 뉴튼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우주관이 생겨난다. 새로운 우주관의 특징은

(1)유한한 세계에서 무한한 세계로 전환

(2)위계적인 세계관에서 상대적인 세계관으로 전환

(3)질적으로 보다는 양적(수학적)으로 파악한다.

2.자본주의가 발달한다.-17세기 과학적 성과들은 19세기초가 되면 기술로 응용이 되기 시작한다. 경제가 발달하고 생산력이 발달하여 경제적 힘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계급(부르주아)가 등장한다. 이 새로운 계급이 과거의 지배 계급인 귀족을 몰아내고 세계의 주도권을 쥐게 된다. 부르주아의 맞은편엔 노동자계급이 생겨난다. 사회구조가 전면적으로 개편이 된다. 그리고 일부만의 소유였던 근대문명의 혜택이 폭을 넓혀간다. 그러면서 대중사회가 도래한다. 민주주의가 성립된다.

3.개인주의적 문화가 발달한다.-과거의 문화는 주체가 국가나 영주 등 전체를 위한 것이었으나 재현(모방)의 개념이 무너지고 자율적이고 개인적이고 개인의 감성을 표현하게 된다.

근대사회가 형성되는데 사상적인 기반을 제시한 것이 근대 철학이다. 데카르트, 라이프니찌히는 새로운 세계관을 전개했고, 홉스, 로크, 계몽사상가들(볼테르.루소,헤겔)은 정치.사회적인 사상들을 이야기했다. 칸트.헤겔은 새로운 미학을 제시함. 근대 철학자들의 거시적 안목에서의 핵심적인 테마는 주체이다.

*‘주체란 무엇인가?

1.인식론적으로 볼 때-‘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데카르트)’ 철학의 역사에서 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 생각의 주체는 바로 이다.

2.정치적으로 볼 때-홉스,로크, 근대 정치 철학자들을 지배했던 개념은 계약이다. (루소의 사회계약론’ ). 계약당사자가 독립적 주체임을 전제로 한다.

3.문화적으로 볼 때-전체가 아닌 나를 위한 것이다.

인간 밖에 인간의 삶을 근거 지워주는 뭔가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 자신이 주체가 되고,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고 역사는 신의 섭리가 아닌 인간이 만들어내 작품이다라는 것으로 근대철학은 주체의 철학이다.

모더니티의 현재와 미래- 변화의 시대, 모더니티가 직면한 문제들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으로 불붙은 모더니즘 논쟁

모더니티는 지난 20 여년간 사회학 담론을 관통하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다. 모더니티를 둘러싼 사회학 담론은 그 동안 다양한 이론적 논쟁뿐만 아니라 경험적 토론을 제공해왔다. 이 모더니티 담론의 부상은 무엇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에서 커다란 자극을 받았다. 문학과 예술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포스트모더니즘은 1980년대 초반 이래 사회학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미쳐왔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사회학적 대응이 본격화되었다.

오늘날 사회학에서 모더니티에 대한 표준적인 저작으로 꼽히는 기든스의<포스트모더니티>(1990), 하비의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1989), 래쉬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사회학>(1990), 보맨의 <입법자와 해석자>(1987), 그리고 투루비언의 <유럽의 모더니티와 그 너머>(1995) 등이 이 시기에 발표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더니티에 대한 교과서로 세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친 영국 개방대학의 모더니티시리즈도 1992년에 출간되었다. (스튜어트 홀 외, <현대성과 현대문화>,<모더니티의 미래>)

모더니티에 대한 사회학적 담론들을 돌아볼때, 먼저 두 가지 문제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첫째, 모더니티를 둘러싼 토론에는 나라마다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한다. 대체로 유럽 사회학이 모더니티 담론을 주도해왔다면, 미국사회학은 문화사회학을제외하면 비교적 무관심한 편이었다. 따라서 모더니티/포스트모더니티 문제를 검토할 때, 이런 경향의 차이를 주목해야 한다. 둘째,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티는 구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이 문학 및 에술에서의 새로운 변화를 말한다면, 포스트모더니티는 사회제도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변화를 지칭한다. 이런 구분을 주목할 때, 제도적 차원을 중시하는 사회학의 경우 포스트모더니티의 도래는 근대 산업사회를 넘어서는 새로운 사회의 등장을 함축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논란거리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