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형과니의 삶

조동성-순종임금의 건강생활 유지 위해 들여온 '옥돌대' 본문

당구이야기

조동성-순종임금의 건강생활 유지 위해 들여온 '옥돌대'

김현관- 그루터기 2023. 4. 28. 00:41

조동성-순종임금의 건강생활 유지 위해 들여온 '옥돌대'

知識 ,知慧 ,生活/당구에 대하여 2009-08-27 15:20:12

순종임금의 건강생활 유지 위해 들여온 '옥돌대'

(사진) 창덕궁 동행각에 설치된 2대의 옥돌대

 

중세 이래 유럽 귀족사회의 최고 사교놀이었던 당구가 언제 어떤 경로를 거쳐 우리나라에 옮겨졌는가는 정확하지 않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우리 당구사의 유일한 기록은 이왕조의 마지막 임금 순종(純宗)의 장례를 치르면서 펴낸 순종국장록이 다. 이 기록으로 미루어 대략 구한말 1909년을 전후해 궁중의 어전놀이로서 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이 국장록은 책 이름이 말해 주듯이 순종임금의 장례의식을 주로 담았지만 의외로 당시 풍물을 곁들였는데, 특히 재위 중의 황실 내면사를 사진과 그림으로 수록했으며 황제의 일상생활면을 가식 없이 기록, 정통 실록과는 다른 궁중 풍정을 전한다.

이 책의 18페이지에 생시 그가 즐겼던 어용 당구대(2)와 상아공, 큐대가 화려한 내실을 배경하여 사진으로 소개돼 있고 장소는 창덕궁 동행각이라고 나와 있다. 더욱 85페이지에는운동의 필요로 옥돌(玉突)이라는 제목 아래 순종 나라님의 옥돌 인연과 평소 즐기심이 간략하게 설명돼 있다.

내용 중 일부를 옮기면 「…창덕궁 인정잔 동행각에 옥돌대(당구대) 2대가 들여 있으니 간간 시신(侍臣)을 데리고 큐를 잡으셨다. 내외국의 옥돌선수가 경성(京城)에 이르기만 하면 반드시 한번씩은 인견하옵셨다.

옥돌의 적수 되는 사람은 전 창덕궁 경찰서장 야노(矢野)인데 결코 이기시려는 욕심이 없으셨고 항상 어찌하면 재미있게 마치실까 하시는 고아하옵신 생각으로 옥돌판을 대하옵시는 터이나 실력은 6070 내외까지 이르셨다.(후략)

참고로 그 당시 이 점수는 현재의 150200점대로 비교적 고점자 수준이었다고 보겠다.

사진과 원로인을 통한 내 나름의 판단은 당시 게임 방법은 정통의 4구치기였으며 당구대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중대, 공은 당연히 상아공이었고 직경이 지금의 65.5mm보다 약간 큰 69mm였다. 그러나 이상은 기록상의 추적이고 그것도 궁중내이고 보니 보다 자세한 내막은 알 길이 없다.

다만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이 초창기를 살았던 한 사람의 당구인이 있어 그의 기억이 얼마간 세월을 거슬러오를 수가 있었다. 그가 바로 원로 당구인 김효근(金孝根).

그 시대 당구인이 옥돌을 가까이 했던 몇 안되는 한국인 중의 한 분이며 후일 우리 당구 발전을 위해 많은 공헌을 했었다.

그러나 이분 역시 궁중 출입자는 아니었고 그의 스승인 전상운(全相雲)씨가 어용 당구대의 시설관리자 겸 순종임금의 개인적 당구교수였던 데서 이 스승의 입을 통해 궁중옥돌장의 풍경을 전해 들을 수가 있었던 것이다.

순종은 외모로 보아선 흠잡을 데 없이 훤칠한 장부였으나 선천적인 체질은 매우 섬약한 편이었다고 한다.

그가 당구를 즐기게 된 것은 총독부의 배려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건강생활을 위한 실내 스포츠로서 가까이 한 것이었다.

전형적인 귀골풍의 온후관대한 성격이 강한 체력운동보다 이런 류의 가벼운 실내 게임에 어울렸다고 보겠다.

기록에도 말했듯이 그의 당구 자세는 전혀 승부욕이 없어 간혹 일인 고관들과 대결할라치면 측근들이 민망해 할 때가 많았다고 한다.

이는 너무 신사도에 철저해 그 고지식함이 당시 숨가쁜 국제정세에 비겨 약자의 연민인양 비쳐졌기 때문이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일반의 당구지식은 전혀 없었고 그보다는 당구를 구경조차 하기 힘들었다고 하겠다. 그러다가 최초의 일인 당구장인 경성구락부가 탄생한 것이 1920년대 초반이었다 남대문시장 입구의 여성회관 자리가 당시 재판소 관사였는데 일인 고급관리들의 집단거주지였다.

여기에 위치한 경성구락부당구장은 2층 목조 구조의 아담한 사교장이었다. 1층은 일반관리직용, 2층은 고관들의 전용 당구장으로 각각 3대와 2대 모두 5대의 당구대가 설치됐었다.

일인 거주지역에 일인 경영의 시설이었던 만큼 대다수 고객이 일본인이었지만 간혹 조선총독부 직원들이 동행해 즐길 기회가 없지 않았을 것이므로 그런 점에서 경성구락부는 우리 당구의 시발점이었다고 보겠다.

일단 당구장이 시중에 나타나고부터는 전파도 빨라 이곳 저곳에 차츰 시설이 불어났는데 1920년대 말까지 경성에만 약 10여개 소를 헤아렸다.

구체적으로는 서대문연초공장 휴게소에 1, 의주로의 총독부 관사촌에 1, 남산의 왜성대에 3, 청량리의 서울의대 내 교직원용으로 1대 등이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그때까지만 해도 옥돌은 순수 친목·사교 목적의 레크리에이션이었고 지금처럼 영리상의 영업장은 아니었다.

또 고급관리들의 전용이다 보니 품격도 대단해 당구를 칠 수 있는 위치면 엘리트임을 자부할 수 있었다.

처음 궁내의 어용놀이로서, 다음은 일인들 중심의 고급 사교장 성격에서 자리잡기 시작한 당구대가 일반 보급을 위한 본격 영업장으로 나타난 것은 1923년 왜인촌 진고개(전 대연각호텔 뒤편)의 일인 경영 파주정(波州亭)이 효시였다.

그러나 시설은 빈약하기 짝이 없어 딱 한 대의 당구대가 상류층 아닌 서민층의 발걸음을 제한, 일인 그것도 일부 돈 많은 상인층에 국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