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형과니의 삶

지음(知音)의 벗 본문

철학,배움,지혜

지음(知音)의 벗

김현관- 그루터기 2023. 4. 16. 22:58

 

지음(知音)의 벗

 

벗 중에 제일가는 벗이 지음의 벗이다. 음은 본래 마음속 소리를 말하니 지음이란 서로의 마음속을 주고받을 수 있음을 말한다. 그러면 마음이 늘 하나 된다. 벗이란 두 마음 세 마음 가릴 것 없이 하나 됨이다.

중국 전국 시대에 백아(伯牙)가 높은 산에 올라감을 상상하면서 거문고를 타면 종자기(鍾子期)'참 좋다. 태산에 올라가는 듯하니.'했고, 백아가 흘러가는 물길을 상상하면서 거문고를 타면 종자기는 '참 좋다 강물이 넘실넘실 흘러가누나.' 하고 감탄을 했으며 백아가 소나기 맞던 때를 상상하면서 거문고를 타면 '소나기가 쏟아지니 어쩔까나' 하며 걱정하고, 백아가 태산이 무너지는 곡을 뜯으면 '태산이 무너지니 어쩔까나' 하며 근심에 잠겼다고 한다.

그래서 백아는 감탄하면서 거문고를 놓고 종자기를 향해 '그대는 참으로 둘도 없는 지음의 벗이구려.! 내 거문고 소리로 그대는 내 마음속처럼 상상하다니 지음의 벗이구려! 그대가 있는 한 내 어찌 거문고를 타지 않겠는가' 했다 한다.

지음의 벗이 있다면 무거운 삶도 가벼워진다. 명상이야말로 나의 지음이다.

백아는 자기의 음악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사람은 종자기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소리[]를 알아듣는[]다 하여 지음(知音)의 벗으로 사귀었다. 이후로 지음(知音)이란, 말없이도 속마음까지 다 이해하는 벗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그러다가 종자기가 먼저 세상을 떴다. 백아는 절망한 나머지, 자기의 거문고 줄을 칼로 부욱 그어 다 끊어 버리고 말았다. 세상에는 이제 자기의 거문고 소리를 알아들을 사람이 없다면서 다시는 거문고를 연주하지 않았다.

이것을 두고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 하여 백아절현(伯牙絶絃)이라고 한다.

 

'철학,배움,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주조한 ( 噇酒糟漢)  (0) 2023.04.19
물이 맑으면 갓끈을 씻는다.  (0) 2023.04.17
강태공의 낚시  (1) 2023.04.15
마음 비추는 거울  (0) 2023.04.13
어머니 손은 '약손'  (0) 202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