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ale base vocal
- 인천 중구를 사랑하는 사람들
- 익숙해질 때
- 빌보드 #노라 존스 #재즈
- 인학사무실#참우럭#놀래미#도미#금문고량주#두열#제물포#마장동고깃집#마장동
- 60bpm
- 1mm 치과
- 석민이#경민이#도화동시절
- 동인천역 가새표#남수#보코#친구들
- 인천시민과함께하는시화전
- 오블완
- 나는 걸었고 음악이 남았네
- 누가바#상윤네집#진열이#금복
- 양파즙#도리지배즙#배도라지청#의약용파스#완정역#호경형
- 사르코지 #카콜라 부르니 #불륜 #남성편력
- 감정의 깊이가 다른 말
- 시각장애인 #안드레아 보첼리
- 티스토리챌린지
- y.c.s.정모
- lost in love "잃어버린 사랑" - 에어서플라이 (air supply)#신포동#ai가사
- 추억의도시
- 경로석#한국근대문학관#윤아트갤러리
- 졸업식 노래 #빛나는 졸업장 #진추하
- 퓨전재즈의 열풍 #장본인 #색소폰 #케니지
- fork. male vocal. 75 bpm.piano. cello. lyrical. lively.
- 인천대공원#포레#파반느#단풍
- 황우창
- 碑巖寺
- 이어령#눈물한방울
- new trot. male vocal. 60bpm. piano. cello. orchestra. lyrical. languid.
- Today
- Total
목록인천풍경 (119)
형과니의 삶

석정루(石汀樓) 한옹(汗翁) 선생의 유저 '인천 한 세기'를 보면, 경인 기차 통학생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 시절 사각모를 쓰고 대학에 다녔다면 자타가 인정하는 엘리트였는데, 훗날 그분들이 인천의 각계(各界)를 이끌었음은 물론이다. "필자가 대학에 다닐 때는 연전의 김수영(일본 명치대 투수), 이유선(성악가), 보전의 배인복(럭비선수 우련통운 사장), 경성제대의 장극(물리학자), 김동석(평론가) 등과 가깝게 지냈었다."며 동년배 통학생을 소개했다. 선배 가운데는 삼화조선(三和造船)을 경영해 큰돈을 벌었던 이후선(李厚善) 사장도 보인다. 30여년간 자유공원을 산책하며 건강을 지켜온 데 대한 보은으로써 시민의 휴식처가 될 누각을 지어 인천시에 기증한 바로 그분이다. 출생지가 월미도였던 연유로 월미도와 인천..
.incheon Seaport, Korea 2017 드론 한국 인천항 자유공원https://youtu.be/FNOjb0SjFpQ 드론으로 본 인천 / 송도 센트럴파크 ,인천대교, 경인아라뱃길과 정서진,차이나타운 월미도,소래습지생태공원https://youtu.be/pMeJDPcH-8M Color of Incheon - 인천광역시 홍보영상https://youtu.be/BsiA_27-9kE 2016인천 드론영상 컨텐츠공모전 (동북아시아의 중심 인천)https://youtu.be/X8k-kTuH930 인천 월미도 4K 드론영상https://youtu.be/QtegfVqpTjY

https://youtu.be/tTLy4Vje2OM?si=qyPPgvR9c_C7b9gf 인천시립박물관 특별전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은 ‘2019인천민속문화의 해’를 맞이하여 전국에서 인천에 모여든 인천인과 인천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특별전을 개최하고 있다. 6월 28일부터 9월 1일까지 ‘이음, 섞임 그리고 삶- 해불양수(海不讓水)의 땅, 인천’ 이 그것이다.바다는 어떠한 물도 마다하지 않듯, 제물포 개항 이후 이곳저곳으로 이어진 물길 따라 한반도의 전역에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그들은 한데 섞여 살며 현재의 인천을 만들었다. 일찍이 신문물을 처음 수용하고 외국인과 친근한 인천은 개방성과 포용성을 갖춘 도시로 발전해 왔다. 항만과 철도 그리고 공단을 갖춘 인천으로 일자리를 찾거나 주거의 안정을 바라는 사람들이 ..

https://youtu.be/hf02TIl_eq4?si=d5e9CsWrkEHr4F6u https://kakaotv.daum.net/downloader/cliplink/vbe94uSMIu5KxegSIKVMObe@my?service=daum_blog

인천 만석동 근대산업유산 답사기 하늘이 매우 파랗다. 날씨는 적당히 서늘하여 오늘 근대산업유산을 답사하는데 더 없이 알맞다. 올림포스호텔 전망대에서 모여 오늘의 목적지로 향하는 9명의 답사팀들의 면면이 새로운데 안내를 하는 이 성진선생의 모습이 당당해 보여 무엇보다 마음이 놓인다. 근래 학교와의 부딪힘으로 신경이 쓰임직한데도 무심히 세상을 달관한 듯 답사를 이끌어 가는 이 선생의 마음씀씀이가 고맙다. 하인천역 뒤 8부두 앞을 지나려는데 한때 숱한 뱃사람들의 열락이 숨쉬던 뱀골목이 흔적없이 사라졌다. 도심의 흉물이었지만 가뭇없이 사라진 모습을 보며 오래전 뱀골목과 새우젓 골목에 대한 추억의 한자락을 되새겨 보았다. 인천역 뒷골목 https://alzade57.tistory.com/131 일행은 새우젓골목을..

하인천의 모습이 보이는 올림포스호텔의 그림엽서! 책을 읽으려는데 책갈피에서 엽서가 한 장 튀어 나온다. '올림포스호텔'엽서인데 꽤 오래된 엽서로 보여서 찬찬히 살펴 보았다. 사진 가운데 윗편의 눈에 확 띄는 녹색건물은 '신일아파트'로 당시 아주 도드라진 색감의 아파트였다. 당시만 해도 지금처럼 번잡스런 '차이나타운'이 형성되기 이전이라 찬찬한 모습의 하인천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하인천을 돌아 만석동으로 돌아가는 우회고가교가 보이지 않고 로프가게들이 잘 보이는 것으로 보아, 우회고가도로의 설치 이전임을 알 수 있으며, 왼편 윗쪽 선광아파트(1996년10월 준공) 를 짓기 위한 터파기 공사를 하는 모습을 보면 대략 1994-5년경의 엽서일것으로 추정된다. 2018.10.23 그루터기 1973년 인천 올..

2018년도 특별전 ‘자료로 본 인천의 근현대’展 인천시립박물관은 8월 14일부터 10월 3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2018년도 특별전‘자료로 본 인천의 근현대’展을 개최하였다. 이번 전시는 화도진도서관의 개관 30주년을 맞이하여 그동안 도서관에서 수집해 온 인천 관련 자료를 시민들에게 소개하고자 인천광역시립박물관, 화도진도서관, 인천문화재단 인천역사문화센터가 공동으로 기획하였다. 화도진도서관은 2000년 7월 ‘향토‧개항문화자료관’을 주제로 하는 특화도서관으로 지정되어 인천의 근현대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왔으나, 도서관이라는 특성상 그간 모아온 자료들을 시민들에게 공개할 기회가 없었고, 몇 권의 도록으로 자료의 가치를 공유할 뿐이었다. 이번 전시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었는데 첫 번째는 인천에 제물..

'옐로우 하우스 보다, 듣다, 담다' 술취한 마초들이 모이는 곳이면 어느 곳에나 사연많고 슬픈 장미들은 꼬이기 마련이었다. 한때 젊음의 치기가 왕성할 때 외치던 가자 ! 장미촌으로의 구호는 이미 석화된지 오래이고 환락의 중심지에서 음험한 쾌락을 발산하던 거의 모든 집창촌이 사라지고 있다. 세상의 흐름에 인천의 집창촌인 '옐로우 하우스'도 예외가 아니다. 지금 한창 철거가 진행중이면서 차후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인 이 곳의 기억을 기록하고 보존하고자 인천의 수봉문화회관에서 '옐로우 하우스 보다, 듣다, 담다' 라는 주제로 사진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마침 집에서 불과 200여미터의 거리라서 비 오는 오후 잠시 시간을 내어 다녀 왔는데 주제가 주제인지라 전시를 보는 입장이 불편하였다. 그리고 이제 저네들은 어..

경인철도 위로 역사가 흐른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차가 달린 곳이 바로 인천이다. 내년 경인철도 개통 120년을 맞이해 9월 3일부터 9월 12일까지 인천개항박물관 전시실에서 제9회 기획전시전 ‘미리 보는 경인철도 120년’을 개최하였는데 지난 세월동안 변화한 경인철도의 모습을 소개하고 오래전의 관련 자료들을 전시하였다. 이번 전시는 서울과 인천을 잇는 한국 최초의 철도 경인선을 비롯해 한국 철도사와 관련된 자료를 전시하였는데,. 경인철도가 개통할 당시의 기관차 모형과 승차권, 열차를 운행하는 증표의 역할을 하던 통표, 전호등과 같은 철도 관련 자료들을 볼 수 있었다. 1부에서는 1900년 9월 경인철도의 시작과 현재를 연표로 정리해 전시의 개괄적인 내용을 소개하였으며 2부에서는 최초의 열차 모형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