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티스토리챌린지
- 경로석#한국근대문학관#윤아트갤러리
- 나는 걸었고 음악이 남았네
- fork. male vocal. 75 bpm.piano. cello. lyrical. lively.
- 누가바#상윤네집#진열이#금복
- 익숙해질 때
- 황우창
- 碑巖寺
- 오블완
- 인학사무실#참우럭#놀래미#도미#금문고량주#두열#제물포#마장동고깃집#마장동
- male base vocal
- 사르코지 #카콜라 부르니 #불륜 #남성편력
- 이어령#눈물한방울
- 인천시민과함께하는시화전
- 인천 중구를 사랑하는 사람들
- 1mm 치과
- y.c.s.정모
- new trot. male vocal. 60bpm. piano. cello. orchestra. lyrical. languid.
- 퓨전재즈의 열풍 #장본인 #색소폰 #케니지
- lost in love "잃어버린 사랑" - 에어서플라이 (air supply)#신포동#ai가사
- 추억의도시
- 시각장애인 #안드레아 보첼리
- 졸업식 노래 #빛나는 졸업장 #진추하
- 감정의 깊이가 다른 말
- 빌보드 #노라 존스 #재즈
- 60bpm
- 인천대공원#포레#파반느#단풍
- 양파즙#도리지배즙#배도라지청#의약용파스#완정역#호경형
- 동인천역 가새표#남수#보코#친구들
- 석민이#경민이#도화동시절
- Today
- Total
목록음악이야기/팝 (115)
형과니의 삶

https://youtu.be/Tn58bF9hstM Hawaiian Wedding Song / Andy Williams 1990년도에 발행된 흘러간 팝송백과를 뒤적이다 이 노래를 찾아 듣게 되었다. 정말 오랜만에 듣는 노래이다. 언제 처음 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부드러운 음색에 가늘게 눈을 감으며 부를 것 같은 가수를 그려본다. 이지 리스닝의 수퍼스타로 불리던 앤디 윌리암스는 오리지널 곡보다는 리바이벌곡으로 알려진 가수였다. 그의 부드럽고 달콤한 목소리로 불려진 영화주제가는 세대와 언어의 국경을 넘어 많은 사랑을 받았었는데.. 이 노래를 듣고 있자니 괜시리 우리시대의 D.J 이 종환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 같은 느낌이 다가 온다. 하와이안 기타의 요염한 현의 울림과 함께.. 지금은 그토록 기다리던 환희의 순..

https://youtu.be/wmDxJrggie8 사람들은 별을 꿈꾼다. 우리가 별을 꿈꾸는 것은 아득한 곳에 있는 어떤 그리움이 우리 삶을 이끌고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그 생각은, 어린 시절에는 내일에 대한 희망으로, 늙어서는 옛일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다가온다. Dance With My Father / Luther Vandross 다시 한번 어린 시절로 돌아가자 루더 반드로스의 2003년 작 「Dance With My Father」의 동명 타이틀 트랙이다. 그가 일곱 살 때 세상을 떠난 아버지에게 헌정하는 곡으로 어린 시절 부모님과 함께했던 다정한 때로 돌아가고 싶다는 내용의 노래로 따뜻한 가족애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내 어렸을 때로 돌아가고 싶어. 나의 순진무구함 사라지지 않았던 시절. 그 ..

https://youtu.be/zqUDRkO93DA The Marmalade / Reflections of my life 스코틀랜드 출신인 '마멀레이드'의 유일한 히트곡 〈Reflections of My Life>는 1970~1980년대 음악다방에서 꼭 한번쯤 틀어주던 곡이죠. 촌스럽게 통통거리는 베이스와 3도 화음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선배와 친구가 즐겨 부르는 애창곡이었습니다. 지금도 물기를 머금은 듯한 전주의 베이스가 울리면, 기억하고 싶지 않은 흑백사진들이 파노라마처럼 지나갑니다. 어리숙할 수밖에 없는 청소년기, 어설펐기에 흉터만 남은 사랑, 실수와 잘못된 선택들로 후회스러운 순간이 떠오르죠. 아주 이상하게 고통스러운 따스함을 느끼게 해주는 노래입니다. 자신을 되돌아보는 능력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https://youtu.be/tdFSheB1BJ4 엘튼 존 / Goodbye Yellow Brick Road Goodbye Yellow Brick Road는 엘튼 존이 만든 명곡입니다. 노랫말이 좋고 곡의 구성도 절묘하죠. 1970년대 발표된 노래 대부분은 도입부인 A파트의 멜로디를 두 번 반복하고 후렴으로 넘어가거나, 그 사이에 네 마디 연결 고리를 넣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Goodbye Yellow Brick Road는 A파트의 멜로디가 매번 조금씩 다릅니다. 네 마디마다 새로운 맛을 선물합니다. 그래서 갑자기 색깔이 다른 후렴으로 넘어가도 거부감이 없고 오히려 깜짝 놀라게 하며 기쁨을 선사합니다. '노란 벽돌 길 Yellow Brick Road'은 영화

https://youtu.be/r0yI78cFeVs 샤데이(Sade)는 1983년에 결성된 영국의 R&B · 소울 밴드로서, 밴드의 이름은 나이지리아 출신 리드 보컬 샤데이 아두의 이름을 딴 것이다. 샤데이는 R&B, 소울 뿐 아니라 재즈, 펑크와 소프트 록의 요소들을 혼합시킨 독특한 음악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1984년 말, 데뷔 앨범 《Diamond Life》는 영국 음반 차트 2위에 오르며 플래티넘을 기록하였으며 1986년 샤데이는 그래미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 따르면 샤데이의 미국 내 음반 누계 판매량은 현재까지 약 2,350만 장이며 전 세계적으로는 약 5000만 장의 음반 판매량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샤데이는 라틴 소울 밴드인 프라이드(Pride)의 멤버 ..

https://youtu.be/vf3zFvcKQkw Bryan Adams / Heaven Bryan Adams / 브라이언 아담스 생년월일 1959년 11월 5일 / 국적 캐나다 1992년 캐빈 코스트너가 주연한 영화

https://youtu.be/vHIdHIWfnl4 Barry Manilow / I write the songs Barry Manilow / I write the songs Barry Manilow 베리 매닐로우 생년월일 1946년 6월 17일 국적 미국 뉴욕 베리 메닐로우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이 친숙한 가정에서 자라났다. 11세에는 아코디언을 마스터했고 13세에는 피아노를 완벽하게 치는 수준까지 터득해 주위를 놀라게 했다. 고등학교 시절 열심히 음악 공부를 한 결과 줄리어드 음악 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음에도 학비 조달이 어려워지자 낮에는 레코드 회사에서 우편 담당과 프로듀서 보조역을 맡아 아르바이트를 했으며 저녁에는 줄리어드에서 작곡과 편곡을 공부하였다. 자기 자신에게 엄격하고 생활에 충실..

https://youtu.be/PQCw9FVuZVg Al Green / You Ought to Be With Me Al Green / You Ought to Be With Me Al Green 생년월일 1946년 4월 13일 국적 미국 알칸사스 포레스트 시티 앨 그린은 9세가 되던 해에 미시간주의 그랜드 래피즈로 가족을 따라 이사하였고 그 후 7년 동안 그의 형들과 함께 가스펠 그룹인 그린 브라더지(The Green Brothers)의 일원이 되어 노래를 시작했다. 1964년에는 직접 팝 그룹인 크리에이션즈(The Creations)를 결성하였다. 3년 동안 지방무대를 순회하며 공연을 하였고 몇몇 멤버들은 후에 주니어 워커 앤드올 스타즈(Jr. Walker and The All-Stars)에 가담하였다...

https://youtu.be/QB5X9s6job4 Love Is All / Marc Anthony 이렇게 당신이 날 안아줄 때, 너무나 많은 추억들이 눈에 선하게 떠올라요 첫 키스를 했던 순간, 거의 헤어질 뻔 했던 순간들. 하지만 우린 여전히 시험을 받고 시련을 겪지요 그렇지만 여전히 우리가 알고 있는 것 보다는 더욱 진실하고 강해졌어요 사랑은 모든 거예요 웃음과 흘렸던 눈물들 평범한 것들과 놀라운 것들 모든 게 사랑이에요 무심코 한 말, 아픔을 치료하는 손길 모든 것을 받고 주는 것이 사랑이에요 언제나 당신이 알고 있는 나 그러면서도 여전히 낯선 내가 있고 집처럼 편안하게 느껴지는 당신 결코 변하지 않는 당신이 있어요 하지만 우린 여전히 여기에 누워 있어요 많은 일을 겪으면서 서로를 배려해주며 신뢰..

팝의 탄생 ㅣ블루스&컨츄리&포크음악&파퓰러 블루스(blues)란? 블루스의 아버지로도 불렸던 핸디(W.C. Handy)가 1912년에 자신의 곡을 멤피스 블루스(Memphis Blues)라고 이름 붙이기 전까지 아무도 블루스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는 1914년 세인트 루이스 블루스(St.Louis Blues)를 비롯하여 많은 곡을 알렸다. 그렇다고 핸디가 블루스의 창시자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흑인 노동자들이 들판에서 그들의 고달픈 인생을 한탄하며 읊조렸던 민요조의 노래들을 수집하여 손을 보고원곡과 다른 가사를 붙여 악보로 만들어 내는 일을 해낸 선구자였다. 블루스는 흑인들이 단체로 노동하면서 부르던 소박한 민요가, 어느 한 사람이 부르는 노래로 흐름을 타면서 블루스가 되었다. 자유를 구속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