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학사무실#참우럭#놀래미#도미#금문고량주#두열#제물포#마장동고깃집#마장동
- 황우창
- 퓨전재즈의 열풍 #장본인 #색소폰 #케니지
- 동인천역 가새표#남수#보코#친구들
- lost in love "잃어버린 사랑" - 에어서플라이 (air supply)#신포동#ai가사
- new trot. male vocal. 60bpm. piano. cello. orchestra. lyrical. languid.
- 추억의도시
- 碑巖寺
- 인천시민과함께하는시화전
- 1mm 치과
- 빌보드 #노라 존스 #재즈
- 감정의 깊이가 다른 말
- 인천 중구를 사랑하는 사람들
- fork. male vocal. 75 bpm.piano. cello. lyrical. lively.
- 인천대공원#포레#파반느#단풍
- 경로석#한국근대문학관#윤아트갤러리
- 60bpm
- 나는 걸었고 음악이 남았네
- 양파즙#도리지배즙#배도라지청#의약용파스#완정역#호경형
- 이어령#눈물한방울
- 석민이#경민이#도화동시절
- y.c.s.정모
- 누가바#상윤네집#진열이#금복
- 졸업식 노래 #빛나는 졸업장 #진추하
- 티스토리챌린지
- 사르코지 #카콜라 부르니 #불륜 #남성편력
- male base vocal
- 시각장애인 #안드레아 보첼리
- 오블완
- 익숙해질 때
- Today
- Total
목록한산시, 사자성어 (70)
형과니의 삶
독서망양 讀書亡羊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독서망양 讀書亡羊[읽을 독/책 서/잃을 맏/양 양] ☞책 읽는데 정신이 팔려 돌보던 양을 잃었다--일에는 뜻이 없고 딴 생각만 하다가 낭패를 봄 [출전]『莊子』 병무편 [내용]장과 곡 두 남녀가 한 집에 살면서 양을 돌보는 일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두 사람 다 양을 잃어 버리게 되었다. 장에게 "왜 양을 잃어 버렸느냐?"고 묻자 대나무 쪽을 들고 거기 쓰여진 글을 읽고 있었다고 했다. 여자 곡에게 양을 잃은 이유를 물으니 주사위 놀이를 하며 놀았다고 했다. 두 사람이 한 일은 같지 않지만 양을 놓쳐버린 것만은 같다. [원문]俱亡羊 問藏奚事 則挾莢讀書 問穀奚事 則博賽以遊 二人事業不同 其於亡羊均也 [풀이]학문을 중시하는 동양적 사고방식에서 본..
마이동풍 馬耳東風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마이동풍 馬耳東風[말 마/귀 이/동녘 동/바람 풍] ☞말 귀에 봄바람이다. 남의 말에 잘 귀를 기울이지 않고 그냥 흘려버리거나 알아 듣지 못하는 것. 또는 어리석고 둔하여 남의 말을 알아 듣지도 못하고 사리를 깨쳐 알지도 못한다. [동]牛耳讀經(우이독경). 牛耳誦經(우이송경):쇠 귀에 경 읽기/對牛彈琴(대우탄금):소를 마주하고 거문고를 탄다. [속담] 쇠 귀에 경 읽기/말의 귀에 봄바람 부나마나 /너하고 말하느니 개하고 말하는 것이 낫겠다./담벼락하고 말하는 셈이다. [출전]『李太白集』〈券十八〉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 [내용] : 왕거일(王去一)이 ‘쓸쓸한 밤 홀로 술을 마시며 회포에 잠긴다.〈寒夜獨酌有懷(한야독작유회)〉’라는 자신의..
박물군자 博物君子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박물군자 博物君子 [넓을 박/만물 물/임금 군] ☞온갓 사물에 대하여 견문이 썩 넓은 사람. [유]박학다재 [博學多才] [참고]박물군자 무불간섭[ 博物君子 無不干涉]무슨 일이나 참견 아니하는 일이 없다 [예문]지난 78년 허슬러의 발행인으로 잠시 일한 바있는 폴 크래스너씨는 『플린트가 항상 미국의 정치와 문화에서 한 역할을 맡기를 원했으며, 이제 그가 바랬던것을 얻었다』고 말했다. 한편 정치분석가들은 『포르노 작가, 박물군자, 사회적 폐물』로 자처하고 있는플린트가 현재 휘두르고 있는 이같은 영향력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클레어몬트 대학원의 정치학교수 세리 베비치 제프는 플린트가 탄핵절차와 전반적 통치제도에 대한 냉소주의를 심화시킬 것이..
불요불굴 不撓不屈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불요불굴 不撓不屈 [아닐 불/흔들 요/아닐 불/굽힐 굴] ☞뜻이나 결심이 꺾이거나 휘어지지 않는다는 뜻 [출전]『맹자(孟子) 』양혜왕(梁惠王) [내용]후한(後漢) 초기의 역사가 반고(班固)가 지은, 기년체 역사서 《한서(漢書)》에 나오는 말로, 반고가 《한서》에서 왕상(王商)에 대해 “왕상의 사람 됨됨이는 질박하고 성격은 불요불굴하였기 때문에 오히려 주위 사람들로부터 원한을 사게 되었다.”에서 유래한다. 불요불굴이 나오게 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전한(前漢)시대 성제(成帝) 때 장안(長安)에 홍수가 들 것이라는 소문이 삽시간에 퍼져 대혼란이 일어났다. 성제는 대책을 세우기 위해 중신들을 소집하여 의견을 물었다. 성제의 장인인 왕봉(王鳳)은 조사도 해..
절차탁마 (切磋琢磨)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절차탁마 (切磋琢磨) 切:끊을 자를 절. 磋:탄식할 찬탄할 차. 琢:쫄 탁. 磨:갈 마. [원말] 여절여차여탁여마(如切如磋如琢如磨). [준말] 절마(切磨). 뼈 상아 옥 돌 따위를 깎고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 곧 ① 수양에 수양을 쌓음의 비유. ② 학문 기예 따위를 힘써 갈고 닦음의 비유. 언변과 재기가 뛰어난 자공(子貢)이 어느 날 스승인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 가난하더라도 남에게 아첨하지 않으며[貧而無諂] 부자가 되더라도 교만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富而無驕]. 그건 어떤 사람일까요?" "좋긴 하지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貧而樂道] 부자가 되더라도 예를 좋아하는 사람만은 못하느니라[富而好禮]." 공자의 대답에 이어 자..
상선약수 上善若水 [윗상/착할선/같을약/물수]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물은 온갖 것을 잘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는다. 뭇사람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도 가기를 좋아한다.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살 때는 물처럼 땅을 좋게 하고, 마음을 쓸 때는 물처럼 그윽함을 좋게 하고, 사람을 사귈 때는 물처럼 어짐을 좋게 하고, 말할 때는 물처럼 믿음을 좋게 하고, 다스릴 때는 물처럼 다스림을 좋게 하고, 일할 때는 물처럼 능함을 좋게 하고, 움직일 때는 물처럼 때를 좋게 하거라. 대저 오로지 다투지 아니하니 허물이 없도다.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 居善地, 心善淵, 與善人, 言善信,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不唯不爭, 故無尤. - 노자의 도덕경 중에서..
복수불수 覆水不收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복수불수 覆水不收 [엎을 복/물 수/아니 불/거둘 수]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지 못한다. 한 번 저지른 일은 다시 어찌 할 수 없음을 이른다. 또는 다시 어떻게 수습할 수 없을 만큼 일이 그릇됨. [동]覆水不返盆(복수불반분)-엎질러진 물은 동이로 돌이킬 수 없다.**동이 분/甑已破矣(증이파의) : 시루가 이미 깨졌다. 다시 본래대로 만들 수 없음.**시루 증/복배지수(覆杯之水), 복수불수(覆水不收). [유]낙화불반지(落花不返枝), 파경부조(破鏡不照), 파경지탄(破鏡之歎). [속담]쏘아 놓은 화살이요 엎지른 물이다. /깨진 거울은 다시 비춰지지 않는다. [출전]『拾遺記(습유기)』 [내용] :주(周)나라 시조인 무왕(武王:發)의 아버지 서백(西伯:文王..
삼강오륜 三綱五倫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삼강오륜 三綱五倫 [석삼/벼리 강/다섯 오/인륜 륜] ☞유교(儒敎)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綱領)과 5가지의 인륜(人倫). 삼강(三綱)은 유교 도덕이 되는 세가지 뼈대가 되는 줄거리, 오륜(五倫)은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인륜(人倫). =오상(五常). 오전(五典). [해설]임금과 신하(君爲臣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 부모와 아들(父爲子綱)이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 오륜(五倫)은 유교 실천 도덕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다섯가지의 인륜(君臣有義, 父子有親,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을 말한다. 삼강(三綱)은 유교 도덕이 되는 세가지 뼈대가 되는 줄거리로서, 임금과 신하(군위신강 君爲臣綱), 남편과아내(부위부강 夫爲婦綱)..
삼라만상 森羅萬象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삼라만상 森羅萬象 [빽빽할 삼/벌일 라/일만 만/본 뜰 상] ☞빽빽하게 벌여있는 온갖 존재, 우주의 온갖 사물과 현상을 뜻함 [출전] 법구경(法句經) [예문]'삼라와 만상은 하나의 법으로 새겨진 것이다' 삼라(森羅)는 울창한 나무들이 빽빽하게 늘어서 있듯이 우주에 펼쳐진 온갖 사물이고, 만상(萬象)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온갖 현상이나 형체이다. 따라서 삼라만상이라고 함은 우주에 존재하고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형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삼라만상이 하나의 법으로 새겨진 것이라는 말은 우주의 수억 수만의 존재와 현상들은 각각이 다르게 존재하지만, 그것이 생성되고 존재하고 멸하는 이법은 하나이며 그 하나의 이법에 의해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
산고수장 山高水長 知識 ,知慧 ,生活/배움-문학,철학사 산고수장 山高水長[뫼 산/높을 고/물 수/길 장] ☞군자의 덕이 높고 끝없음을 산의 우뚝 솟음과 큰 냇물의 흐름에 비유한 말. [유]산두(山斗)는 태산과 북두의 준말인데 존경을 받는 사람을 태산북두(泰山北斗)라 한다[출전]『文章軌範』 [예문1]진안고원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하며 군 지역의 대부분이 지형학상의 고원지대로 이루어져 있어 주위 다른 지역과의 고저가 확연히 드러난다. 북한의 개마고원에 비추어 볼 때 실로 산과 물의 분수령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과 섬진강의 발원을 이루는 산고수장(山高水長)한 고장이다.주위의 장수군, 무주군과 더불어 소백산맥 서사면의 청정 고랭지역으로 흔히 '무진장'이라고 일컬어진다. [예문2]동소서금(東小西錦)이라 ..